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채권
- 알고리즘공부
- 자바스크립트
- algorithmTest
- C
- C++
- 프로그래밍언어
- 독서
- 돈
- JavaScript
- 화장품
- 재테크
- 책알남
- 다독
- 책을알려주는남자
- Java
- 주식
- 서평
- algorithmtraining
- algorithmStudy
- 자바
- 성분
- 백준알고리즘
- 독후감
- 알고리즘트레이닝
- 지혜를가진흑곰
- 투자
- 알고리즘 공부
- 경제
- 프로그래머스 알고리즘 공부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565)
탁월함은 어떻게 나오는가?
프론트 : 리액트, 백 : 노드js 를 사용하고 있다. 본인은 공공데이타 포탈에서 api를 테스트 하고 적용을 하고 있었다. 포스트맨(postman)에서 url 을 테스트할 때는 아무런 이상이 없었다. 하지만, 프론트(localhost:3000)에서 백(localhost:8080)으로 axios 데이터 송신을 했더니 안되는 것이였다. 물론, 이전에 이미 proxy를 사용해서 백(localhost:8080)을 허용시켜 놓았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자세히 봐보니 stict-origin-when-cross-orin 이라는 에러가 발생했다는 것을 알았다. 결국 흔한 CORS error임에 어떤식의 에러인지는 알았지만, 많은 미사여구가 붙어있는거 보니 뭔가 다른것이라는 직감을 얻었다. 검색으로 얻은 결과는 결론적..
Node.js를 사용하다보면 개발 환경에서의 굳이 재실행 시켜주지 않아도 적용된건지 확인하고 싶어진다. nodemon 그것을 해결해주기 위한것이 nodemon(node monitor)라는 모듈이다. nodemon을 사용하여 서버 코드가 변경되어도 서버 코드의 변경을 감지해 서버가 알아서 재실행 시켜준다. 설치 기본적인 nodemon 설치 명령어이다. 1 npm i nodemon cs https://www.npmjs.com/package/nodemon nodemon Simple monitor script for use during development of a Node.js app.. Latest version: 2.0.18, last published: 14 hours ago. Start using no..
동기vs비동기와 블로킹vs논블로킹은 같은 의미인가? 동기와 비동기는 프로세스의 수행 순서 보장에 대한 매커니즘이고, 블로킹과 논블로킹은 프로세스의 유휴 상태에 대한 개념이다. 블로킹과 논블로킹, 동기와 비동기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두가지 용어를 알아야 한다. - 제어권 : 제어권은 자신(함수)의 코드를 실행할 권리 같은 것이다. 제어권을 가진 함수는 자신의 코드를 끝까지 실행한 후, 자신을 호출한 함수에게 돌려준다. - 결과값을 기다린다는 것 : A함수에서 B함수를 호출했을 때, A함수가 B함수의 결과값을 기다리느냐의 여부를 의미한다. Blocking(블로킹)과 Non-Blocking(논블로킹) 블로킹(Blocking)과 논블로킹(Non-Blocking)은 다른 작업을 수행하는 주체를 어떻게 상대하..
캐시란? 캐시는 컴퓨터에서 데이터나 값을 미리 복사해 놓는 임시 장소를 말한다. 캐시를 사용하는 이유는 캐시의 접근 시간에 비해 원래 데이터를 접근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우나 값을 다시 계산하는 시간을 절약하고 싶은 경우에 사용한다. 캐시에 데이터를 미리 복사해 놓으면 계산이나 접근 시간 없이 더 빠른 속도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캐시는 시스템의 효율성을 위해 여러 분야에서 두루 쓰이고 있다. 캐시가 효율적으로 동작하려면, 캐시에 저장할 데이터가 지역성을 가져야 한다. 지역성이란 데이터 접근이 시간적, 혹은 공간적으로 가깝게 일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1) 시간적 지역성 특정 데이터가 한번 접근되었을 경우, 가까운 미래에 또 한번 데이터에 접근할 가능성이 높은 것을 시간적 지역성이라고 한다. 메모..
연결 리스트(링크드 리스트) 개요 추상적 자료형인 리스트를 구현한 자료구조이다. Linked List라는 말 그대로 각 노드가 데이터와 포인터를 가지고 한 줄로 연결되어 있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조이다. 이름에서 말하듯이 데이터를 담고 있는 노드들이 연결되어 있는데, 노드의 포인터가 다음이나 이전의 노드와의 연결을 담당하게 된다. 리스트의 각 원소는 메모리 상 연속적인 공간에 할당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첫번째 원소의 주소를 알더라도 그 다음 원소의 주소를 단순히 계산할 수 없다는 의미이다. 리스트의 각 원소는 다음 원소를 가리키는 '포인터(Pointer)'등을 사용하여 각 원소의 순서를 구현한다. 리스트는 포인터로 연결하는 특징을 가지다 보니 배열보다 데이터의 삽입/삭제가 빠른 편이다. 삽입..
정규화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설계에서 중복을 최소화하게 데이터를 구조화 하는 프로세스를 정규화라고 부른다. 데이터베이스 정규화의 목표는 이상이 있는 관계를 재구성하여 작고 잘 조직된 관계를 생성하는 것에 있다. 일반적으로 정규화란 크고, 제대로 조직되지 않은 테이블들과 관계들을 작고 잘 조직된 테이블과 관계들로 나누는 것을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 디자인의 표준은 데이터베이스가 완전히 정규화되게 디자인 되어야 한다. 그 뒤 일부는 성능상의 이유로 비정규화될 수 있다. 정규화된 결과를 정규형이라고 하며, 정규형은 기본 정규형 고급 정규형으로 나뉜다. - 기본 정규형 : 제1정규형, 제2정규형, 제3정규형, BCNF(보이스/코드 정규형) - 고급 정규형 : 제4정규형, 제5정규형 정규화의 장점으로는 이상 ..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 동적 호스트 설정 프로토콜 통신규약) 란? 호스트의 IP주소,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디폴트 게이트웨이(Default Gateway), 단말의 IP 주소,DNS 서버 IP 주소, 임대기간(Lease Time) 등의 다양한 네트워크 정보를 DHCP 서버가 PC와 같은 이용자 단말에 자동으로 할당해 주는 프로토콜을 말한다. DHCP에 대한 표준은 RFC문서에 정의되어 있으며, DHCP는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IP주소를 DHCP서버가 중앙집중식으로 관리하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사용하게 된다. IP라우터는 인터페이스 및 호스트에 IP주소를 할당해 줄 수 있다. 예전에는 각 PC마다 고정 IP 설정을 도입하여 사용하거..
서브넷마스크의 개요 21세기에 IPv4 주소의 고갈이 현실화되고 있다. 각국의 NIC(Network Infomation Center)에서는 이를 최대한 늦추기 위하여 각 라우터가 브로드캐스팅하는 로컬 네트워크 영역에 공인 IP 대역을 호스트가 필요한 만큼만 할당하려는 노력을 하였다. 이러한 NIC 기관의 요구에 맞춰서 IETF에서는 로컬 네트워크 내부에서 접속한 호스트의 IP 대역을 외부 네트워크와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수단을 표준화하였고 이것이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이다. 서브넷이란? IP 주소는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하나의 로컬 네트워크란 하나의 라우터를 거쳐가는 여러개의 연결된 브로드캐스트 영역이다. 즉, 어떤 네트워크에서 한 노드가 브로드캐스트를 했을 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