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algorithmTest
- 다독
- 알고리즘공부
- 재테크
- C
- 독후감
- 지혜를가진흑곰
- 돈
- C++
- 책을알려주는남자
- 백준알고리즘
- 성분
- 프로그래밍언어
- 경제
- 책알남
- 프로그래머스 알고리즘 공부
- JavaScript
- 서평
- 자바스크립트
- Java
- algorithmtraining
- 알고리즘 공부
- 투자
- 자바
- 화장품
- 채권
- 주식
- 독서
- algorithmStudy
- 알고리즘트레이닝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566)
탁월함은 어떻게 나오는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lmiu0/btrSCHN1o3c/W4OoU0kGYfvSntwz5kEASk/img.png)
변수란 ?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변수(variable) 또는 스칼라(scalar)는 아직 알려지지 않거나 어느 정도까지만 알려져 있는 양이나 정보에 대한 상징적인 이름이다. 컴퓨터 소스코드에서의 변수 이름은 데이터 저장 위치와 그 안의 내용물과 관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것들은 프로그램 실행 도중에 변경될 수 있다. 컴퓨터 환경에서 변수는 반복적인 과정 안에서 이용할 수도 있다. 이를테면 한 장소의 값을 할당한 뒤 어느 곳에서 사용한 다음 새로운 값으로 다시 할당하고 같은 방법으로 다시 사용할 수도 있다. 컴파일러는 변수의 상징적인 이름을 데이터의 실제 위치로 치환해야 한다. 변수 값, 형, 위치는 일반적으로 유지되는 반면 위치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는 프로그램 실행 도중 변경될 수 있다. - 위키 백과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tvEAm/btrSlYBVv5m/mTEu3kKoHy37ZN4BmQn5yk/img.png)
npm i (npm install) npm 은 Node.js 프로젝트의 기본 패키지 관리자이다. npm 을 사용하면 종속 항목을 쉽게 설치하고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ue.js 프레임워크와 같이 npmjs 에 나열된 종속성은 터미널에 복사하여 붙여넣을 수 있는 설치 명령도 표시한다. npm ci (npm clean-install) 의 경우는 npm v6 부터 도입된 명령어이다. npm install 명령어는 package.json 과 package-lock.json 과 연관이 있다. package.json 은 우리가 설치하고자 하는 모듈에 대한 의존성 목록이 존재한다. 여기서 의존성 목록의 버전은 version range 를 따르고 있다. version range 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이..
npm init : package.json 파일 생성한다. npm init -y 를 사용하면 모든 설정이 default 값으로 설정된다. npm install [패키지명] / npm i [패키지명] : package 생성한다. default로 로컬에 설치가 되며, npm install 패키지@버전하면 특정한 버전을 설치할 수 있고, npm install 주소 하면 특정한 저장소에 있는 패키지를 설치 할 수 있다. 주소는 주로 Github에만 있는 패키지를 설치할 때 사용한다. 옵션의 경우 뒤에 --save or -S 하면 dependencies에(npm5부터는 --save옵션이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안붙여도 된다.), --save-dev or -D하면 devDependencies에 추가 된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fj5z5/btrR8jGOkCD/czElLiuFrc1ZjTw1uZRN1K/img.png)
문제 설명 숫자나라 기사단의 각 기사에게는 1번부터 number 까지 번호가 지정되어 있습니다. 기사들은 무기점에서 무기를 구매하려고 합니다. 각 기사는 자신의 기사 번호의 약수 개수에 해당하는 공격력을 가진 무기를 구매하려 합니다. 단, 이웃나라와의 협약에 의해 공격력의 제한 수치를 정하고, 제한수치보다 큰 공격력을 가진 무기를 구매해야 하는 기사는 협약기관에서 정한 공격력을 가지는 무기를 구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15번으로 지정된 기사단원은 15의 약수가 1, 3, 5, 15로 4개 이므로, 공격력이 4인 무기를 구매합니다. 만약, 이웃나라와의 협약으로 정해진 공격력의 제한수치가 3이고 제한수치를 초과한 기사가 사용할 무기의 공격력이 2라면, 15번으로 지정된 기사단원은 무기점에서 공격력 2인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Sug4u/btrRUtYyQHX/I2oQBctkZHvGK52VpFlLyK/img.png)
문제 설명 오래전 유행했던 콜라 문제가 있습니다. 콜라 문제의 지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답은 아무에게도 말하지마세요. 콜라 빈 병 2개를 가져다주면 콜라 1병을 주는 마트가 있다. 빈명 20개를 가져다주면 몇 병을 받을 수 있는가? 단, 보유 중인 빈 병이 2개 미만이면, 콜라를 받을 수 없다. 문제를 풀던 상빈이는 콜라 문제의 완벽한 해답을 찾았습니다. 상빈이가 푼 방법은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우선 콜라 빈 병 20병을 가져가서 10병을 받습니다. 받은 10병을 모두 마신 뒤, 가져가서 5병을 받습니다. 5병 중 4병을 모두 마신 뒤 가져가서 2병을 받고, 또 2병을 모두 마신 뒤 가져가서 1병을 받습니다. 받은 1병과 5병을 받았을 때 남은 1병을 모두 마신 뒤 가져가면 1병을 또 받을 수 있습니..
미들웨어의 정의.. 미들웨어(middleware)는 컴퓨터 제작 회사가 사용자의 특정한 요구대로 만들어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운영 체제와 응용 소프트웨어(application software)의 중간에서 조정과 중개의 역할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이다. 응용 소프트웨어가 운영 체제로부터 제공받는 서비스 이외에 추가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이다. "소프트웨어 글루"(software glue)로 이야기된다. 응용 소프트웨어는 유연하고 확장, 축소가 편리하여야 하며 이러한 장점을 충족하기에 개발자의 다른 기종 간 플랫폼을 다시 구축할 필요가 없어야 한다. 이를테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전자 통신 소프트웨어, 메시지 및 쿼리 처리 소프트웨어를 들 수 있다. - 위키 백과 - 그렇다..
퍼시스턴트(스) 사전적 의미 : 끈질긴, 끊임없이 지속되는, 집요한 퍼시스턴트란 무엇인가? 논리적인 데이터를 대표하는 객체는 물리적인 메모리 공간에 생성되어져서 다루어진다. 객체 데이터는 언젠가는 메모리에서 제거될 수 밖에 없다. 고로 영원히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이다. 객체가 제거되면 객체의 속성들 또한 모두 사리진다. 그러나 객체의 속성을 어딘가에 저장해 놓으면 나중에 객체를 다시 생성했을 때 객체가 제거되기 전의 상태로 되돌아 갈 수 있는데 이러한 속성을 영속성[Persistence - (없어지지 않고 오래 동안 지속됨)]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객체가 퍼시스턴트하다는 말은 프로그램이 메모리에 올라갔다 내려와도 저장을 원하는 경우는 데이터를 잃어버리지 않고 유지할수 있는 장치를 한 객체라는 소리다. 객..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BoyQ6/btrRh7ndZWk/vk5U0KKER8UZBLkwge5H3K/img.png)
웹소켓(WebSocket)은 하나의 TCP 접속에 전이중 통신 채널을 제공하는 컴퓨터 통신 프로토콜이다. 웹소켓 프로토콜은 2011년 IETF에 의해 RFC 6455로 표준화 되었으며 웹 IDL의 웹소켓 API는 W3C에 의해 표준화되고 있다. 웹소켓은 HTTP와 구별된다. 두 프로토콜 모두 OSI 모델의 제 7계층에 위치해 있으며 제 4계층의 TCP에 의존한다. 이들에 차이가 있으나 "RFC 6455" 에 따르면 웹소켓은 HTTP 포트 80과 443 위에 동작하도록 설계되었으며 HTTP 프록시 및 중간 층을 지원하도록 설계되었으므로 HTTP 프로토콜과 호환이 된다. 호환을 달성하기 위해 웹소켓 핸드셰이크는 HTTP 업그레이드 헤더를 사용하여 HTTP 프로토콜에서 웹소켓 프로토콜로 변경한다. 웹소켓 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