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Java
- 백준알고리즘
- algorithmTest
- 알고리즘공부
- 독서
- 성분
- 프로그래밍언어
- 프로그래머스 알고리즘 공부
- 돈
- C
- 다독
- 알고리즘트레이닝
- 독후감
- 책알남
- 화장품
- JavaScript
- 재테크
- algorithmStudy
- 알고리즘 공부
- 주식
- 자바스크립트
- 책을알려주는남자
- 투자
- 채권
- 자바
- 서평
- 지혜를가진흑곰
- 경제
- algorithmtraining
- C++
- Today
- Total
목록[Snow-ball]프로그래밍(컴퓨터)/네트워크 (14)
탁월함은 어떻게 나오는가?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 동적 호스트 설정 프로토콜 통신규약) 란? 호스트의 IP주소,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디폴트 게이트웨이(Default Gateway), 단말의 IP 주소,DNS 서버 IP 주소, 임대기간(Lease Time) 등의 다양한 네트워크 정보를 DHCP 서버가 PC와 같은 이용자 단말에 자동으로 할당해 주는 프로토콜을 말한다. DHCP에 대한 표준은 RFC문서에 정의되어 있으며, DHCP는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IP주소를 DHCP서버가 중앙집중식으로 관리하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사용하게 된다. IP라우터는 인터페이스 및 호스트에 IP주소를 할당해 줄 수 있다. 예전에는 각 PC마다 고정 IP 설정을 도입하여 사용하거..
서브넷마스크의 개요 21세기에 IPv4 주소의 고갈이 현실화되고 있다. 각국의 NIC(Network Infomation Center)에서는 이를 최대한 늦추기 위하여 각 라우터가 브로드캐스팅하는 로컬 네트워크 영역에 공인 IP 대역을 호스트가 필요한 만큼만 할당하려는 노력을 하였다. 이러한 NIC 기관의 요구에 맞춰서 IETF에서는 로컬 네트워크 내부에서 접속한 호스트의 IP 대역을 외부 네트워크와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수단을 표준화하였고 이것이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이다. 서브넷이란? IP 주소는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하나의 로컬 네트워크란 하나의 라우터를 거쳐가는 여러개의 연결된 브로드캐스트 영역이다. 즉, 어떤 네트워크에서 한 노드가 브로드캐스트를 했을 때 ..
HTTP의 특징으로 인한 쿠키와 세션을 사용하는 이유 - HTTP 프로토콜의 특성이자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쿠키 또는 세션을 사용한다. 기본적으로 HTTP 프로토콜 환경은 "connectionless, stateless"한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누구인지 매번 확인해야 한다. 이 특성을 보완하기 위해서 쿠키와 세션을 사용한다. Connectionless(비연결 지향)란?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한 후 응답을 받으면 그 연결을 끊어버리는 특징이 있다. HTTP는 먼저 클라이언트가 request를 서버에 보내면,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요청에 맞는 response를 보내고 접속을 끊는 특성이 있다. 헤더에 keep-alive라는 값을 줘서 커넥션을 재활용하는데 HTTP1.1에서는 이것이 디폴트..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1. 개요와 특징 1) 네트워크 계층의 프로토콜로, 강력한 에러 제어 기능을 바탕으로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 흐름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2) 연결지향형 프로토콜로, 먼저 송수신자 간의 연결이 확인되면 메시지 송수신을 시작한다. - 송수신 가능 여부를 파악하는 것은 TCP/IP 프로토콜 내부의 ICMP 프로토콜이다. 3) 주요 기능은 신뢰성 있는 데이터 송수신, 순서 제어, 전이중통신(Full Duplex), 흐름 제어, 혼잡 제어 등이 있다. 4) TCP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TCP의 연결 성립(Established) 단계부터 연결 요청, 종료까지의 상태 변화이다. 5) 상태전이 과정의 신호 상세이다. 2. 흐름 제어 슬라이딩 ..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는 웹상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요청/응답으로 HTML 문서와 같은 리소스들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이다. HTTP는 웹에서 이루어지는 교환의 기초이며, 클라이언트-서버 프로토콜이기도 하다. 클라이언트가 HTTP 프로토콜을 통해 서버에게 요청을 보내면 서버는 요청에 맞는 응답을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한다. 하나의 완전한 문서는 텍스트, 레이아웃 설명, 이미지, 비디오, 스크립트 등 불러온(fetched) 하위 문서들로 재구성 된다. 클라이언트와 서버들은 개별적인 메시지 교환에 의해 통신한다. 보통 브라우저인 클라이언트에 의해 전송되는 메시지를 요청(requests)이라고 부르며, 그에 대해 서버에서 응답으로 전송되는 메시지를 ..
OSI 7계층이란? OSI 7계층은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통신하는 구조를 7개의 계층으로 분리하여 각 계층간 상호 작동하는 방식을 정해 놓은 것이다. 이는 ISO(국제 표준화기구)에서 개발한 모델이다.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크게 구분하여 한 눈에 들어올 수 있도록 정의했기 때문에 단계별로 파악하기 좋다. 컴퓨터 통신 구조의 모델과 앞으로 개발될 프로토콜의 표준적인 뼈대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 참조 모델이어서 OSI 7 계층 모델을 알면 네트워크 구성을 예측하고 이해할 수 있다. 네트워크에서 트래픽의 흐름을 알 수 있으며, 각 계층은 독립적이다. 독립적이기에 7단계 중 특정한 곳에 이상이 생기면 다른 단계의 장비 및 소프트웨어를 건드리지 않고도 이상이 생긴 단계만 찾아서 고칠 수 있다. OSI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