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주식
- 돈
- 성분
- 책을알려주는남자
- algorithmTest
- 자바스크립트
- 프로그래머스 알고리즘 공부
- 알고리즘공부
- 독서
- 서평
- JavaScript
- 백준알고리즘
- 재테크
- 투자
- 다독
- 독후감
- algorithmStudy
- 채권
- 경제
- 알고리즘 공부
- 자바
- 화장품
- C
- algorithmtraining
- 프로그래밍언어
- 책알남
- 알고리즘트레이닝
- 지혜를가진흑곰
- C++
- Java
- Today
- Total
목록[Snow-ball]front (29)
탁월함은 어떻게 나오는가?
vue에서 실시간으로 글자 변경 감지하는 방법! 밑에처럼 사용하면 잘나온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무게/발(Kg/EA) totalTotalWeightUnit(event) { console.log(event.target.value) } Colored by Color Scripter cs 베타존 : 네이버쇼핑 스마트스토어 나를 꾸미다 - 인테리어소품 베타존 smartstore.naver.com
Vue 페이지 새로고침 함수이다. 싱글페이지어플리케이션(spa)에서는 일반적인 새로고침 방식은 권장되지 않는다. Vue.js에서는 this.$router.go()를 사용하면 된다. 1 2 3 refreshAll() { this.$router.go(); } cs

차트JS를 사용하다보면 차트를 작성하게 되고, 작성된 차트에 숫자를 표기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일반적인 자바스크립트 방식으로 콤마를 찍게 되면 차트가 로딩이 안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처음에는 자바스크립트에서 가능한 기능들을 사용했다. 하지만, 일반적인 자바스크립트 방식으로 콤마를 찍게 되면 차트가 로딩이 안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1 2 3 4 5 6 7 8 9 10 const n1 = 12345.678; const cn1 = n1.toString().replace(/\B(? console.log('cn1 : ', cn1) const n2 = 12345.678; const cn2 = n2.toLocaleString('ko-KR') console.log('cn2 : ', cn2) Colored b..
HTML을 조작하다보면 비어있지만 자리를 차지하는 공백칸이 필요할 경우가 생긴다. 그럴경우 밑에있는 공백을 사용하자. 공백아이디 "ㅤ"
DOM이란? - DOM(Document Object Model)이란, 객체를 통해 구조화된 문서를 표현하는 방법이다. - DOM은 트리형태로 되어 있어서 특정 node를 찾을 수도 있고 수정하거나 제거 할 수 있다. Virtual DOM이란? - VirtualDOM을 이용하면 실제 DOM에 접근하여 조작하는 대신에, 이를 추상화시킨 자바스크립트 객체를 구성하여 사용한다. - DOM의 상태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변경 전과 변경 후의 상태를 비교한 뒤 최소한의 내용만 반영하는 기능이다. 가상 DOM은 DOM의 상태를 메모리 위에 올려두고 DOM에 변경이 있을 때만 해당 변경을 반영한다. - 리액트가 모든 처리를 대신 해주기 때문에 DOM API 조작 작업을 신경쓸 필요가 없다. React DOM이란? - Re..

[리액트란?] 리액트를 사용하여 프론트엔드 개발을 할 때 두가지 방법으로 컴포넌트를 선언할 수 있다. 과거에는 클래스형 컴포넌트를 주로 사용했지만, 2019년 v16.8 부터 함수형 컴포넌트에 리액트 훅(hook)을 지원해 주어서 현재는 공식문서에서 함수형 컴포넌트와 훅을 함께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두가지 방법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필요한 상황에 맞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방법에 대해서 좀 더 깊이있게 살펴봐야 겠다. 컴포넌트는 단순한 템플릿 이상의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가 주어졌을 때 이에 맞추어 UI를 만들어 주는 기능을 하는 것은 물론, 라이플 사이클 API를 통해 컴포넌트가 화면에 나타날때, 사라질 때, 변할 떄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컴포넌트의 목적에 따라 프리젠테이션 컴포넌트..
문장이나 특정단어를 강조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는 태그 , 2가지가 존재한다. 위의 태그 2가지의 다른점은 무엇일까? b 태그 단순히 텍스트를 진하게 표시하는 역할만을 한다. 따라서 서식상 다른 텍스트와 대비된 스타일로 강조를 하고 싶을때 b태그를 사용한다. strong 태그 단순히 보여지는 강조가 아닌 실제로 페이지 내의 중요한 부분으로 브라우저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브라우저가 strong 태그를 해석할 때 페이지 내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이해하면, 이는 브라우저에서 지원되는 웹 접근성에 큰 기여를 한다. 차이점 결국 두 태그의 차이점은 화면 낭독기에서 차이점을 보인다. 태그를 사용하면 화면 낭독기는 해당 부분이 강조되었다고 알려주나, 태그는 알려주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중요한지 아닌지에 따라..
redux의 sate 초기화 redux를 사용하다보면 state가 초기화 되는 경우가 있다. react에서 버튼을 클릭시 다른페이지로 이동할 경우, a tag를 흔하게 사용한다. state초기화 되는 이유 a태그를 사용하면 라우트를 이동시 redux의 전역 state가 모두 초기화 된다. 그 이유는 a 태그의 기본 속성은 페이지를 이동시키면서, 페이지를 새로 불러온다. 그렇게 되면서 react 앱이 지닌 상태도 초기화 되기 때문입니다. 초기화를 방지하는 방법 react에서 페이지를 이동시킬 때 react-router-dom 의 Link 컴포넌트를 사용하면 된다. Link 컴포넌트는 브라우저 주소만 바꾸고, 페이지를 새로고침 하지 않기 때문에 react 앱의 state를 초기화 하지 않는다. 클릭을 이용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