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프로그래머스 알고리즘 공부
- 독후감
- 지혜를가진흑곰
- 다독
- 재테크
- 화장품
- 독서
- 채권
- 성분
- 투자
- 자바스크립트
- Java
- 돈
- JavaScript
- algorithmStudy
- 알고리즘공부
- 주식
- 백준알고리즘
- 책알남
- C++
- 알고리즘 공부
- algorithmtraining
- C
- 책을알려주는남자
- algorithmTest
- 프로그래밍언어
- 서평
- 알고리즘트레이닝
- 자바
- 경제
- Today
- Total
목록[Snow-ball]프로그래밍(컴퓨터) (332)
탁월함은 어떻게 나오는가?
함수형 프로그래밍(functional programming) 함수형 프로그래밍은 자료 처리를 수학적 함수의 계산으로 취급하고 상태와 가변 데이터를 멀리하는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의 하나이다. 명령형 프로그래밍에서는 상태를 바꾸는 것을 강조하는 것과 달리, 함수형 프로그램은 함수의 응용을 강조한다. 프로그래밍이 문이 아닌 식이나 선언으로 수행되는 선언형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을 따르고 있다. 함수형 프로그래밍은 1930년대에 계산가능성, 결정문제, 함수정의, 함수응용과 재귀를 연구하기 위해 개발된 형식체계인 람다 대수에 근간을 두고 있다. 다수의 함수형 프로그래밍언어들은 람다 연산을 발전시킨 것으로 볼 수 있다. 결국, 사이드이펙트(버그)가 없는 순함수형 프로그래밍(functional programming)이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O6y90/btq0domy73S/JLkeXBkfcKwpkqtJr98qV0/img.png)
작업을 하다보면 8080같은 포트가 이미 사용중이라는 에러가 뜰 경우가 자주있다. 이럴때에는 간단하게 kill을 함으로써 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시킬 수 있다. (간편함) 사용방법 1. cmd 창을 열어 netstat -ano 명령어를 입력한다 2. 8080포트를 확인할려면 8080 포트로 가서 어떤 프로세스가 사용중인지 확인하자. 3. PID(프로세스 아이디)를 보면 어떤 프로세스가 사용중인지 알 수 있다. 4. taskkill을 사용하면 죽일 수 있다. 5. kill 사용 후 6. netstat -ano 로 다시 확인해보면 없다. 베타존 : 네이버쇼핑 스마트스토어 나를 꾸미다 - 인테리어소품 베타존 smartstore.naver.com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GZDm8/btqZPGaujRr/SwFpTcKht2RwSy37AfACQ1/img.png)
위의 사진처럼 cmm이라는 텀(trem)은 공통의 라는 뜻이다. 즉 공적으로 사용하는, 많은 사람들이 편하게 사용하는 웹페이지라고 생각하면된다. 베타존 : 네이버쇼핑 스마트스토어 나를 꾸미다 - 인테리어소품 베타존 smartstore.naver.com
상수(constant) '상수(constant)'는 변수와 마찬가지로 '값을 저장할 수 잇는 공간'이지만, 변수와 달리 한번 값을 저장하면 다른 값으로 변경할 수 없다. 상수를 선언하는 방법은 변수와 동일하며, 단지 변수의 타입 앞에 키워드 'final'을 붙여주기만 하면 된다. final int MAX_SPEED = 10; // 상수는 대문자로 입력해야한다. 리터럴(literal)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 리터럴(literal)이란 소스 코드의 고정된 값을 대표하는 용어다. 거의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는 정수, 부동소수점 숫자, 문자열, 불린 자료형과 같은 용어를 가지고 있다. 어떤 언어는 열거 타입이나, 배열, 자료형, 객체와 같은 용어도 있다. 리터럴과 대조적으로, 고정된 값을 가질 수 있는 변수나 변경..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AwX03/btqZGmQ0G0R/ukFf9WGRALqocu9gW0v9ok/img.png)
자바에서 사용하는 area개념과 field의 개념을 다루기 전에 일단 위의 사진의 축구경기장을 볼 필요가 있다. 사실상 area와 field는 같은 축구장의 필드이다. 하지만 하나의 필드안에 field와 area를 나눠놨을까? 그것은 기능의 차이이다. 축구경기장의 field에서는 공이 아무리 왔다갔다 패스를 죽어라 해도 점수가 오르지는 않는다. 하지만 area존으로 들어간다면 점수가 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것과 마찬가지로 자바에서도 이런 개념을 사용한다. 즉. 같은 field이지만, area에서는 실질적인 변화가 일어난다는 것이다. 그것과 마찬가지로 자바(software object)에서도 Methods(behavior) = area 부분에서 실질적인 동작을 하며 노출이 된다. 메서드는 개체의 내부..
클래스란 '객체를정의해놓은 것.' 또는 클래스는 '객체의 설계도 또는 틀' 이라고 대부분이 정의를 한다. 클래스는 객체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며, 객체는 클래스에 정의된 대로 생성된다. 클래스의 정의 - 클래스란 객체를 정의해 놓은것. 그렇다면 클래스란 무엇인가? 정확하게는 디스크에 저장된 객체를 의미한다. 기본적으로 언어는 이진분류(binary classification)이며 요소(property)로 이루어져있기 때문에 디스크 또는 메모리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클래스의 용도 - 클래스는 객체를 생성하는데 사용 1 2 3 4 5 public class 클래스이름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프로그램 시작 시점 } } Colored by Color Script..
오버로딩(overloading)이란? 한 클래스(class) 내에 같은 이름의 메서드(method)를 여러 개 정의하는 것을 '메서드 오버로딩' 또는 간단히 '오버로' 이라 한다. 같은 이름의 메서드를 정의한다고 해서 무조건 오버로딩인 것은 아니다. 오버로딩이 성립되기 위해서는 3가지의 조건을 만족해야한다. 1. 메서드 이름이 같아야 한다. 2. 매개변수의 개수 또는 타입이 달라야 한다. 3. 반환 타입은 관계 없다. 메서드의 이름이 같다 하더라도 매개변수가 다르면 서로 구별될 수 있기 때문에 오버로딩이 가능한 것이다. 위의 3가지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컴파일시에 에러가 발생한다. 오버로딩의 가장 대표적인 예가 자주 사용하는 println메서드이다. 지금까지 println메서드의 괄호 안에 값만 지정해..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package JavaJungsuck.six; class MyMath2 { long a, b; // iv: 인스턴스변수이다 = 클래스 전체에 사용가능. // 인스턴스 변수 a, b 만을 이용해서 작업하므로 매개변수가 필요없다. // a, b는 인스턴스변수(iv) long add() { return a + b; } long subtract() { return a - b; } long multiply() { return a * b; } double divide() { return a / b; } // 인스턴스 변수와 관계없이 매개변수만으로 작업이 가능하다. // a, b는 지역변수(lv) static long add(long a, long b) { 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