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책알남
- 주식
- 돈
- JavaScript
- 경제
- C++
- algorithmtraining
- 프로그래머스 알고리즘 공부
- 백준알고리즘
- 다독
- C
- 책을알려주는남자
- algorithmTest
- 자바스크립트
- 투자
- 재테크
- 화장품
- 성분
- algorithmStudy
- 알고리즘트레이닝
- Java
- 독후감
- 독서
- 지혜를가진흑곰
- 알고리즘 공부
- 채권
- 서평
- 알고리즘공부
- 프로그래밍언어
- 자바
- Today
- Total
목록운영체제 (2)
탁월함은 어떻게 나오는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pf1ss/btqUUpLMUrP/MEKDN7m7l1SXxCskaaOLNK/img.png)
메모리 계층 구조란 메모리를 필요에 따라 여러가지 종류로 나누어 둠을 의미합니다. 이때 필요한 대부분의 경우 CPU가 메모리에 더 빨리 접근하기 위함이며, 일반적으로 레지스터와 캐시는 CPU내부에 존재합니다. 당연히 CPU는 아주 빠르게 접근할 수 있고, 메모리는 CPU 외부에 존재합니다. 레지스터와 캐시보다 더 느리게 접근 할 수 밖에 없으며, 하드 디스크는 CPU가 직접 접근할 방법 조차 없습니다. CPU가 하드 디스크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하드 디스크의 데이터를 메모리로 이동시키고, 메모리에서 접근해야 하고, 아주 느린 접근 밖에 불가능합니다. 그렇다면 메모리 계층구조는 어째서 피라미드 형태로 말할까?(실제로 논문으로도 발표됬다고 합니다.) 이는 컴퓨터 과학에서 증명된 법칙인데, 큰 메모리를 사용한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Cnxbz/btqUtprk0b9/mWsQ2SJAqF2O4FdtYgsVgk/img.jpg)
[시분할 시스템] 시분할 시스템(TSS, Time Sharing System)은 다중 프로그래밍을 논리적으로 확장한 개념으로 프로세서를 통해 다중 작업을 교대로 수행합니다. 컴퓨터를 대화식으로 사용하려는 시도에서 탄생하였습니다. 시분할 운영체제는 CPU 스케줄링과 다중 프로그래밍을 이용해서 각 사용자들에게 컴퓨터 자원을 시간적으로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출력이 사용자에게 표시되고 입력을 키보드에서 읽어들이는 대화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대화식 입출력 속도는 보통 사람들의 처리속도와 같으므로 종료할 때 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다. 예를 들면, 입력은 타이핑 속도에 의해 제약을 받는데 사람에게는 1초에 5문자를 치는 것이 빠른 편이지만 컴퓨터 입장에서는 아주 느린 것입니다. 이러한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