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투자
- JavaScript
- 돈
- 프로그래머스 알고리즘 공부
- 책을알려주는남자
- 백준알고리즘
- 독서
- 자바
- algorithmStudy
- 알고리즘공부
- 다독
- 프로그래밍언어
- 서평
- 알고리즘트레이닝
- C++
- Java
- algorithmTest
- algorithmtraining
- 알고리즘 공부
- 독후감
- 성분
- C
- 재테크
- 주식
- 경제
- 화장품
- 자바스크립트
- 책알남
- 채권
- 지혜를가진흑곰
- Today
- Total
목록리액트 (3)
탁월함은 어떻게 나오는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iegZI/btq8KbsngzA/HZkKAwjxYKeBYNTeLo26Z1/img.png)
[리액트란?] 리액트를 사용하여 프론트엔드 개발을 할 때 두가지 방법으로 컴포넌트를 선언할 수 있다. 과거에는 클래스형 컴포넌트를 주로 사용했지만, 2019년 v16.8 부터 함수형 컴포넌트에 리액트 훅(hook)을 지원해 주어서 현재는 공식문서에서 함수형 컴포넌트와 훅을 함께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두가지 방법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필요한 상황에 맞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방법에 대해서 좀 더 깊이있게 살펴봐야 겠다. 컴포넌트는 단순한 템플릿 이상의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가 주어졌을 때 이에 맞추어 UI를 만들어 주는 기능을 하는 것은 물론, 라이플 사이클 API를 통해 컴포넌트가 화면에 나타날때, 사라질 때, 변할 떄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컴포넌트의 목적에 따라 프리젠테이션 컴포넌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jYyBH/btq3mcdDUSe/u79eD2Li3AbYckMKq2yZGK/img.png)
dispatch함수를 사용하다보면 dispatch안에 있는 함수가 Reucer가 아니라는 에러가 나온다. 그럴경우에는 리듀서 선언을 빠트린 부분이 있는가를 확인해야한다. 나의 경우에는 삭제를 하는 부분을 작성하다가 생긴에러이다. 그렇기에 delReviewIem선언을 확인해보았다. reducer: actions의 구조분해할당을 제대로 했는지 확인. container에도 선언되었는가 확인 그리고 하위 컴포넌트들에도 필요한 만큼 선언되어있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해결완료: 결국 선언이안되어서 생기는 에러니 선언을 확인 후 확인해보면 실행이된다. 베타존 : 네이버쇼핑 스마트스토어 나를 꾸미다 - 인테리어소품 베타존 smartstore.naver.com
State는 하나의 컴포넌트 안에서 전역 변수처럼 사용한다. 여기서 전역변수는 component를 의미한다. 곧 JS로 이야기하면 JSON과 function을 의미한다. React 대표적인 hook 함수에는 useState()와 userEffect()가 있다. 이러한 훅이 존재하는 이유는 함수형 컴포넌트에서 state와 같은 생명주기 함수와 같은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HOOK을 사용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import React, { useState, useEffect } from 'react'; const ReactHook = () => { const [contents, setContent] = useState('[THIS IS..